js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에서의 전역변수와 클로저 핵심만 알려드리겠습니다. 1. 전역변수 개념 자바스크립트에선 외부의 변수를 참조할 수 있는 개념을 클로저라고 합니다. var name = 'kim'; function say_name(){ console.log(name); //kim } say_name(); say_name 함수 바깥에 있는 name 변수를 참조했습니다. 만약, say_name 함수 안에 name 변수가 있으면 그 변수를 참조했겠지만 없으면, 바깥에 변수를 참조하죠 이 클로저라는 개념을 이용해, 어디서든 참조할 수 있는 전역변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 2. 전역변수 예시 전역변수는 script태그 열고 변수를 만들면 됩니다. 그럼 밑에 있는 함수, if , for 등에서 전부 ag..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에서의 변수(var, let, const) 핵심만 알려드리겠습니다. 1. 변수를 사용하는 방법 var name = 'kim'; 변수는 선언과 할당을 이용해 만들 수 있습니다. a. 선언 ⇒ var name b. 할당 => name = ‘kim’ 변수를 사용할 때는 var, let, const 3개의 키워드를 사용 가능합니다. a. 3개 키워드는 선언, 할당, 범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1 선언 var 키워드는 재선언이 가능하고 let, const 키워드는 재선언이 불가능합니다. var data; var data; const age const age //err let, const는 이렇게 같은 이름의 변수를 두 번 이상 재선언할 수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변수 이름..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에서의 화살표함수 사용 못하는 경우와 해결법 핵심만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번 글에선, 화살표 함수를 사용 못하는 경우를 나열할 겁니다. 그럼 화살표 함수를 못쓰면 function 키워드 사용하면 되지 않나?라고도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하지만 function 키워드는 this 키워드를 예측하기 어려워진다고 저번 글에서 배웠었죠? 그리고 나중에 호이스팅을 배울건데, function 키워드는 var처럼 호이스팅 되기 때문에 코드를 예측하기 힘들어져요. 결론은 대부분 화살표 함수를 쓰고, 못쓰는 경우엔 function 대신 아래 방법으로 해결하는걸 추천 드릴게요! 1. 메서드 const cat = { name: "meow"; call_name: () => console.log..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에서의 화살표함수 사용이유의 핵심만 알려드리겠습니다. 1. 화살표함수 사용이유 기존에 javascript에선 function 키워드로 함수를 정의했습니다. 그러나 ES6 신문법 화살표 함수를 사용하면 아래처럼 함수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기존 function 함수() { } //화살표 함수 var 함수 = () => { } function 키워드가 있는데 왜 화살표 함수가 나온 걸까요? 답은 화살표 함수에는 this 키워드가 없기 때문입니다. this 키워드를 모른다면 아래 블로그를 읽어주세요 (javascript) this 핵심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선, 혼란스러울 수 있는 "this" 핵심만 알려드리겠습니다. this 이해하기(아주쉬움) this를 이..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에서의 this 핵심만 알려드리겠습니다. 1. this 이해하기 this를 이해하기 위해선 먼저 객체지향을 간단히 알아야 합니다. 아래 글에서 2분이면 객체지향을 이해할 수 있어요! (javascript) 객체지향(oop) 핵심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선, 혼란스러울 수 있는 "객체지향 "을 핵심만 알려드리겠습니다. 객체지향 이해하기(아주쉬움) 객체지향 개념을 아주 간단하게 설명해 드릴게요 예를들어 함수를 하나 생 jowell.tistory.com 윗글을 읽었다면 js에서 대부분이 객체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아실 겁니다! 왜 this를 이해하는데 객체지향을 이해해야 할까요? 그 이유는 this는 객체를 지칭하는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간단한 예를 들어보죠 v..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에서의 객체지향(oop) 핵심만 알려드리겠습니다. 1. 객체지향 이해하기(아주 쉬움) 객체지향 개념을 아주 간단하게 설명해 드릴게요 예를 들어 함수를 하나 생성한 후,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console.dir을 이용해 함수를 보여드리겠습니다. 함수를 자세히 보면 신기한 점을 눈치채실 겁니다. 함수인데 객체처럼 key와 value 값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죠. js에선 배열도, 함수도, 사실은 전부 객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간단한 예를 들어 볼게요. 우리가 js 객체에서 값을 가져올 때 어떻게 가져오나요? 보통은 "."을 사용해서 가져오실 겁니다. var obj = { name: 'kim' }; console.log(obj.name); //"."을 이용해서 값을 ..
jowell
'js' 태그의 글 목록 (3 Page)